가상 바카라

'응급실 붕괴론' 반박나선 정부 "전체 응급실 99% 24시간 운영"

409곳 중 병상 축소, 6.6% 불과…응급실 근무 전체 의사는 평시의 73% 그쳐 '배후 진료' 어려움 인정…"빠른 시일 내에 해소하겠다"

2024-09-02     연합뉴스
추석 앞두고 우려 커지는 응급의료(사진=연합뉴스)

 '응급실 붕괴론'이 나올 정도로 전국에서 응급실 위기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자 정부가 대부분의 응급실이 24시간 운영되고 있다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보건복지부는 2일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인력 신고 자료를 토대로 이같이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응급실 409곳(권역응급의료센터 44곳·지역응급의료센터 136곳·지역응급의료기관 229곳) 중 3곳을 제외한 406곳이 24시간 운영 중이다.

응급실 운영이 부분 중단된 곳은 세종충남대병원과 강원대병원, 건국대충주병원 등 지역응급의료센터 3곳이다.

세종충남대병원과 강원대병원은 야간 응급실 운영을, 건국대충주병원은 야간과 휴일 응급실 운영을 각각 중단한 상태다.

응급실 409곳 중 6.6% 상당인 27곳은 병상을 축소해 운영 중이다.

지난달 30일 기준 응급의료기관 병상은 5천918개로,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이전인 2월 첫째 주 6천69개 대비 2.5% 줄었다.

권역응급의료센터 병상은 1천181개로 7.1% 줄었고, 지역응급의료센터 병상은 2천630개로 2.8% 감소했다.

지역응급의료기관 병상은 2천107개로 도리어 0.8% 늘었다.

응급실을 찾는 경증환자 비율은 여전히 40%를 넘고 있으나, 평소와 비교하면 감소했다.

지난달 마지막 주를 기준으로 일평균 응급실 내원 환자 1만6천477명 중에서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KTAS) 4∼5에 해당하는 경증 환자는 6천995명으로 42.5%를 차지했다.

응급실에 내원하는 경증 환자 비율은 2월 첫 주 46.3%에 달했으나 다소 낮아졌다.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대부분 큰 변동이 없거나 오히려 소폭 증가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신고 기준으로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 180곳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지난 해 12월 1천504명이었는데, 지난달 26일에는 1천587명이었다.

다만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전문의, 일반의, 전공의를 포함한 전체 의사 인력은 평시 대비 73.4%에 그친다.

응급실 대란의 핵심 원인으로 꼽히는 '배후진료' 위기와 관련, 중증응급질환의 배후진료 및 후속치료가 가능한 기관이 소폭 줄어든 건 사실이다.

배후진료는 응급실에 이어 해당 과목 전문의가 환자에게 전문적인 치료를 하는 것을 말한다.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180곳 중 중증응급질환 27종 진료가 가능한 곳은 2월 첫째 주 109곳에서 지난달 마지막 주 102곳으로 7곳 감소했다.

그러나 복지부는 종합상황판에서 파악한 배후진료 가능 여부는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표시된 것이므로 수치는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종합상황판에 표시되는 메시지는 환자의 신속한 이송·전원을 위해 소방과 의료기관에 제공하는 것이지, 전반적인 진료 역량을 직접 반영하는 것은 아니므로 해석에 주의해달라는 게 복지부 입장이다.

더욱이 복지부는 중증응급질환의 경우 발생 빈도가 높지 않은 질환이 다수여서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180곳이 모두 진료할 수는 없다고 보고, 진료할 수 있는 의료기관을 파악해 환자를 이송·전원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정부는 응급실의 위기를 부정하는 건 아니라고 덧붙였다.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진료 제한이 뜨면 배후진료가 어떤 사정으로 인해서 진행이 안 된다는 뜻이기 때문에 매우 어려움이 큰 것은 인정한다. 그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며 "저희도 엄중하게 생각하고 있고 그 문제를 빠른 시일 내에 해소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