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바카라


“공무원 아니면 먹고 살기 힘들다” 공무원 도시의 '고용 양극화'
  • 스크롤 이동 상태바

    “공무원 아니면 먹고 살기 힘들다” 공무원 도시의 '고용 양극화'

    춘천지역 고용률, 강원 도내에서도 저조
    공무원 안정성 높지만, 이외 직종 변동성
    취업자 늘어나도 사무직 일자리는 제자리
    외지 통근자 많고, 지역 활동인구는 적어

    • 입력 2024.08.21 00:00
    • 수정 2024.08.22 22:53
    • 기자명 권소담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춘천지역 OECD 기준 고용률이 강원지역에서 세 번째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의 도시’ 특성상 관리자‧사무직 취업자 규모는 꾸준하지만, 그 이외 직업군은 경기 변화에 크게 좌우되는 고용시장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구 주요고용지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춘천지역 15~64세 고용률(OECD 기준)은 67.6%다. 강원특별자치도내 18개 시군 중 원주(65.6%), 삼척(65.8%)에 이어 세 번째로 낮았다. 실업률은 2.9%로 강원 평균 실업률(2.6%)보다 높았다.

    춘천지역 고용시장은 내부적인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다. 춘천은 행정‧국방 등 공공분야 종사자가 많은 ‘공무원의 도시’로 전반적인 고용의 안정성은 높은 편이다. 다만, 공공분야 이외의 직종은 변동이 큰 양극화된 고용 구조가 나타난다. 서비스나 단순 노무 직종의 취업자 수 변동에 따라 고용률과 실업률이 좌우되는 모양새다.

     

    춘천고용복지센터에서 한 방문객이 실업급여 신청과 관련된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MS투데이 DB)
    올해 상반기 춘천지역 15~64세 고용률이 강원도내에서도 뒤에서 세번째를 기록한 가운데, 고용시장에서는 공공 일자리와 그 이외 직종 간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사진=MS TODAY DB)

    수치상으로도 올해 상반기 취업자 15만9000명 중 관리자‧전문가(3만4000명)와 사무종사자(2만9000명)는 지난해와 같은 규모를 유지했다. 하지만 전체 취업자가 3000명 늘어나는 동안에도, 소위 ‘안정적인 일자리’로 분류되는 관리자‧사무직 취업자의 양적 규모는 제자리걸음이었다.

    대신 1년 새 농림어업 분야 취업자가 8000명에서 1만명으로, 단순 노무 종사자는 2만1000명에서 2만3000명으로 각각 2000명씩 증가했다. 반대로 경기 침체로 골목상권의 일자리가 부족해지자 서비스‧판매 종사자는 4만1000명에서 3만9000명으로 2000명이 줄었다. 경기 악화로 비경제활동인구가 고용시장에 나서면서 취업자 수 자체는 늘었다. 하지만, 질 좋은 일자리보다는 고용의 안정성이 낮은 직장으로 편입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그 결과, 춘천에 살면서도 일자리를 찾아 다른 지역으로 통근하는 취업자의 규모도 1만6000명에 달한다. 지역에서 실제 활동하는 인구는 주민등록상 인구보다 적다.

    통계청이 이번 조사에서 처음 개념을 만들어 공포한 ‘지역활동인구’의 경우 춘천이 24만9000명으로, 15세 이상 인구(25만7000명)와 비교해 8000명 적다. 현재와 같은 고용 구조가 지속한다면 ‘생활인구’ 감소도 피할 수 없다는 의미다. 지역활동인구는 15세 이상 인구 중 해당 지역에서 상품·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수입이 있는 일을 한 취업자와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실업자 및 비경제활동인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춘천의 한 경제단체 관계자는 “도청이나 시청 공무원들에게 ‘회식 자제령’이라도 내려지면 당장 지역 경제가 흔들리는 것이 춘천의 현주소”라며 “기업 유치 등을 통해 민간 일자리를 창출해야 지역 경제의 체질도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권소담 기자 [email protected]

    (확인=윤수용 데스크)

    기사를 읽고 드는 감정은? 이 기사를
    저작권자 © MS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8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